지역 MBC 자율성 보장과 노동조합 탄압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국언론노조 문화방송본부 광주·목포·여수·전주지부와 광주·전남북 지역 30여 개 시민사회·노동 단체 등은 23일 광주MBC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역MBC의 자율성 보장과 노조 탄압 중단을 MBC 사측에 요구했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지역 MBC의 대주주인 (주)MBC가 지난 3월2일 열린 지역 MBC 주주총회에서 광주·목포·여수MBC와 대구·안동·포항MBC에 본사 간부 출신의 공동상무를 각각 선임했다”고 전하면서 “이는 지역 MBC에 대한 본사의 장악력을 이중 삼중으로 강화해 그나마 남아 있던 지역 MBC의 자율성과 공영성마저 파괴하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공동상무 선임 과정에서 지역 MBC 구성원과 지역 시청자의 의사는 철저히 무시됐다”고 전했다.
그 동안 지역MBC 노동조합들은 자율경영을 훼손하고 많은 추가비용이 발생해 경영에 압박을 준다며 ‘상무제’를 반대해 왔다.
기자회견에 참가한 MBC 노동조합 등은 “MBC 경영진은 지역 MBC 광역화의 효율적 추진과 UHD 방송 등 차세대 방송서비스 선도를 위해 공동상무를 내려보냈다고 주장하지만 속내는 지역성과 배치되는 지역사 통합을 일방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것이고 광역화 추진 과정에서 지역 MBC의 의사를 철저히 무시하겠다는 선전포고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동상무 선임은 지난 2013년 방송통신위원회가 MBC의 재허가 조건으로 요구한 지역 MBC의 자율경영 이행방안과 배치되는 것으로 국가기관의 권위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노동조합 탄압 중단 요구도 나왔다.
MBC 노동조합 관계자는 “4년 째 무단협 상태를 유지하면서 급기야 지난해 12월 이후는 MBC 본사가 단체협약 교섭이 진행되는 가운데 전국언론노조 MBC본부 위원장 등 5명에 대해 근로시간 면제 기간 만료를 통보하고 원직 복귀 명령을 내렸고, 지난 2월부터는 지역 MBC 노조위원장도 연이어 업무에 복귀시키고 있다”면서 “노조 전임자들의 손발을 묶고 노조를 무력화시켜 반대 목소리를 아예 없애겠다는 MBC 본사 차원의 기획임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울산MBC의 경우 임기가 만료된 기자 출신의 지부위원장을 보도국에 발령한 지 10일 만에 다시 본래 업무와는 전혀 관계없는 부서(MD)로 배치했다”면서 “이는 인사발령 이후 6개월 내에는 추가인사를 할 수 없다는 울산 MBC 사규마저 위반한 것이어서 보복인사 의혹까지 일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MBC 본사의 지역 MBC 자율성 침해행위에 대해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는 공영방송 MBC를 정권의 충직한 애완견으로 전락시킨 안광한 사장을 즉각 해임해야 할 것이며 방송통신위원회 역시 지역MBC 독립성 강화라는 재허가 조건을 위반한 MBC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는 지난 14일부터 18일까지 전국 19개 지부에서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했으며 투표결과 조합원 총원 1633명 중 1523명이 투표(투표율 93.26%), 이중 1301명이 찬성(찬성률 85.42%)해 파업이 가결됐다.
MBC가 파업 찬반투표를 벌인 것은 지난 2012년 김재철 사장 당시 MBC 노조 최장기 파업을 벌인 이후 처음이다.
황해윤 기자 nabi@gjdream.com